2016년 12월 11일 일요일

팬인가, 제자인가 독후감



 ‘not a fan 팬인가, 제자인가’ 를 읽고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가장 먼저 생각난 성경구절은 갈라디아서 2장 20절 말씀인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팬 vs 제자

 책 초반은 이 둘의 개념을 설명을 해준다. 팬은 단순 열광을 진정한 헌신으로 착각한다. 하지만 제자는 대가를 치르며 그의 말씀을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들이다. 

얼마나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그 어떤 물건이든지, 서비스든지 그 값이 있다. 당연히 좋은 것은 값이 많이 나가고 덜 좋은 것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하지만 문제는 존재는 하지만 그 값을 정할 수 없는 가치나 신념이다. 예를 들자면 우정이나, 연대, 헌신, 사랑, 등등 이런 가치에 이 책에서는 예수님을 향한 우리의 삶을 ‘얼마나’드려야 하는지에 대해서 ‘전부’로 대답을 하고 있다. 

부르심

 누가 그의 제자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이 책에서는 자격은 없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특별히 감동받은 부분도 그렇다. 모두가 죄인이라고 손가락질 하는 여인이 예수님에게 자신의 머리로 그 발을 씻기며 그녀의 옥합을 깨뜨려 그 발에 부은것 말이다. 하지만 그 모습을 본 유다는 어리석게도 그 헌신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옥합이 얼마인지 계산을 하고 있다. 차라리 그것을 가난한 사람에게 주는 것이 어떻겠냐 하면서 말이다. 나는 그녀가 예수를 따르는 제자들 보다 예수가 누구신지 더 잘 알았던것 같다. 그리고 현장 분위기가 그런것이 아닌데 그녀는 용기를 내어 행동으로 그녀의 믿음을 보였다. 

기회비용 

 A와 B중 A를 선택하므로 얻을 수 없는 B에 대한 가치를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그러면 제자된 삶을 선택하므로 얻게 되는 것은 무엇인가? 이 책에 아쉬운점은 제자된 삶을 살기위해서 우리가 생명도 삶도 우리가 가진 모든것을 드려야 하는데 결국 그 결과가 무엇인가? 하나님 나라의 확장인가? 이 책에서는 정답을 들 을 수가 없다. 사실 그것이 믿음 인것 같다. 창세기에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부르실 때도 아브람은 자기 갈바를 알지 못하지만 믿음으로 나아가지 않았던가? 

정답, 헌신에 대한 결과 그 끝은 알 수 없지만 전부(최선)를 다 하여야 하는것 그것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제자의 삶인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 끝에 대하여 의심하거나 혹은 그 값을 계산하여 시작조차도 못하진 않았을까? 아니면 시작은 하였어도 힘이 들어 다른 생각이 올라오진 않았는가? 나는 믿는다. 예수님을 따르기로 한  제자들에게는 뱀을 밝아서 이길 권능을 주셨다고.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풍경

 하늘 높은줄 모르고 떠올랐던 흙먼지는 밤사이 내린 봄비와 같이 다시 가장 낮은 곳으로 돌아와야했다.  봄비는 적장의 허리를 껴아하늘 높은줄 모르고 떠올랐던 흙먼지는 밤사이 내린 봄비와 같이 다시 가장 낮은 곳으로 돌아와야했다.  봄비는 적장의 허리를...